개요
- page1: 반갑습니다. 1팀 발표 맡은 발표자 선예림입니다. 지금부터 저희 프로젝트 ‘뚜벗뚜벗’을 여러분께 소개하겠습니다.
- page2: 발표는 프로젝트 개요로 시작해 Q&A로 마무리 짓겠습니다.
- page3: 먼저 개요입니다.
- page4
- 요즘 아파트 놀이터를 가보시면, 아이들이 놀이기구 대신 스마트폰에 몰입해 있는 모습을 많이 보시지 않으셨나요?
- 저도 지난 추석 초등학교 2학년인 사촌동생과 놀아주며 이 문제를 직접 체감했는데요.
그 모습을 계속 보는 삼촌께서도 걱정하시더라고요.
- 이러한 모습을 보며 저 역시 ‘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?’라는 고민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.
- page5
- 앞에 보이시는 자료는 ‘육아정책연구소에서 조사한 초등학생의 주평균 실외 운동량’입니다. 자료를 보시면 초등학생들의 주평균 야외활동 시간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하지만 이러한 감소는 단순한 숫자 이상의 문제를 담고 있습니다.
- page6 →
협력과 소통의 기회 부족 (사회적 교류 감소 대체)
- 야외활동이 감소하면서 친구들과의 교류 기회가 줄어들어 협력과 소통의 기회가 부족해졌으며
- page7
- 다양한 환경에서의 새로운 경험을 접할 기회가 부족해지며 상상력과 창의적 사고를 발달시킬 기회가 감소하고 있습니다.
- page8
- 저희는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야외활동에 참여하며, 그 과정에서 재미와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고민했습니다.
- page9
- page10
- 아이들의 야외활동을 자연스럽게 촉진하면서도 재미를 더해주는 서비스
- page +
서비스 소개
- page11
- page12 → 모험 컨셉을 언급
- 저희는 아이들이 야외활동에 자연스럽게 참여할 수 있도록 ‘모험’이라는 컨셉을 선택했습니다.
- page13 → with 뚜벗
- 모험을 함께할 특별한 친구가 바로 ‘뚜벗’입니다. 뚜벗은 단순히 귀여운 캐릭터가 아니라, 아이들이 모험을 시작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- 아이들은 뚜벗과 함께 일주일 동안 ‘관심지수’를 높여 뚜벗을 수료시키기 위해 미션을 수행하며 야외활동을 즐길 수 있습니다.
- 뚜벗을 잘 수료시키기 위한 모험과정에는
- page14 → 모험 시작
- 첫번째, 모험 시작입니다.
- 매일, 매주 일정시간에 부여되는 랜덤 미션을 통해서 알림을 보고 나가서 모험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.
- page15 → 3m 이내 친구를 만나 직접 소통의 기회를 제공
- 모험 중에는 3m 거리 내에 있는 사용자와 친구를 맺을 수 있습니다.
- 아이들 간 직접적인 소통의 기회를 늘리고, 협력과 교류를 자연스럽게 유도합니다.
- page16 → AR 보물 찾기로 흥미와 성취감을 제공.
- AR 카메라를 활용한 보물 찾기는 모험의 흥미를 극대화합니다.
- 아이들은 실제 환경에서 보물을 찾으며, 성취감과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.
- page17 → 생성형 AI로 아이들만의 특별한 이야기를 기록한 모험 발자국 생성.
- 모험이 끝난 후에는 아이들이 경험한 여정이 '모험 발자국'으로 기록됩니다.
- 생성형 AI를 통해 지도, 경로, 보물 등 아이들만의 특별한 이야기가 상상력 넘치는 일지로 완성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