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개발 프로세스: 개발 시작부터 완료까지 거쳐야하는 작업 순서나 단계
- 꼭 진행해야 할 업무와 산출물이 정해져있음
- 예상 문제 사전 방지, 할 일 예상 가능
Waterfall Model vs AGILE
- 제조업에서는 폭포수 모델도 자주 쓰임
- AGILE + Scrum Process
- 준비
- 스프린트를 시작하려면 제품 백로그가 필요
- 모든 요구사항을 포함한 우선순위가 매겨진 목록
- 사용자 스토리, 버그, 기술적 작업 등 다양한 항목
-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→ 변화하는 요구사항에 유연하게 대응
- 기능 명세처럼 전부 만들어두고 시작
- 계획
- 스프린트 동안 팀이 수행할 작업 목록
- 백로그에서 선택된 스토리, 작업, 버그 등
- 우선순위, 스토리 포인트로 결정
- 스토리포인트 ⇒ 절대 시간단위로 쓰지 말것 ??????
- 실제 계획이 가능하도록 작업 구체화
- 실행
- 리뷰
- 스프린트 종료시, 결과물 검토
- 결과 시연 + 피드백 수집
- 다음 스프린트 계획 + 발전 방향 결정
- 회고
- 스프린트가 끝난 후, 작업 과정 및 협업 방식 검토
유저 스토리 (기능명세)
- 사용자 관점에서 요구사항을 간략하게 설명 (비개발자 언어로)
- ~ 는 ~ 하기 위하여 ~ 할 것이다.
- 스토리 포인트: 작업 우선순위, 중요도 등 포함 상대적으로 결정
- 기준이 되는 스토리를 선정 후,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산출
- 일반적인 방법
- 1~5, 티셔츠 사이즈 등
- 가장 많이 사용: 피보나치수열
- 플래닝 포커
- 스토리에 대해 팀원들과 논의
- 각자 스토리 작성 후 동시에 공개
- 가장 큰 값으로 결정
이슈 구조화
- EPIC > STORY > TASK
- JIRA에는 STORY, TASK가 동일 레벨
- 링크 기능을 통해 계층관계 형성
- TASK는 유저 스토리를 구체화한 실질적인 작업 항목
- 필요에따라 STORY에 포함되지 않은 단독 TASK도 존재 가능
- SUB-TASK 지양